위기와 분쟁, 전쟁 역사의 시작이라고 규정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그리고 대만전쟁과 한반도의 위기 |
|
|
저는 오늘 여러분께,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 한반도의 위기와 기회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리고 한반도가 어떤 길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미래비전을 발표하겠습니다.
저는 지금 세계의 역사를 위기와 분쟁, 전쟁 역사의 시작이라고 규정합니다.
2022년 2월 유럽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 의하면, 우리와 관련 없을 것 같았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우리 경유 가격이 한때, 천정부지로 올랐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한때 세계 곡물시장에도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무엇보다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습니다. |
|
|
그리고 2023년 10월 중동에서, 이스라엘 하마스 간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이 악화될 경우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주변 아랍국가들이나 이란, 미국이 개입할 경우, 국제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 금리 또한 상승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는 죄 없는 수많은 아이들과 시민들이 이 전쟁으로 희생당하고 고통 당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전쟁, 그리고 중동의 전쟁으로 우리 세계경제는 불확실성의 늪으로 빠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끝일까요? 2024년, 2025년, 2026년은 과연 어떤 위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
|
|
유럽과 중동의 전쟁을 넘어서 지금 실존하고 있는 위기는 바로 ‘대만전쟁’(가능성)입니다. 미국의 저명한 싱크탱크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대만전쟁에 대한 War Game을 다루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2027년에 인민해방군 100주년, 그리고 시진핑 3기 연임에 맞추어서 대만을 공격할 거라는 여러 해외 전문가들이 주장이 그것을 뒷받침합니다. |
|
|
대만 해협 1일 봉쇄 시 한국 경제 4,000억 규모 손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그리고 미중경쟁으로 촉발된 대만전쟁까지 일어난다면 우리나라에 2가지 쓰나미가 덮칠 것입니다.
첫번째는 경제쓰나미입니다.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대만 해협이 1일만 해상 봉쇄가 돼도, 우리에게 주요자원 및 제품만 한정해도 4,452억의 피해가 온다고 합니다. TSMC가 있는 대만은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가치사슬 중심에 있습니다. 만약 대만해협이 장기적으로 봉쇄된다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흔들리고 세계경제가 크게 흔들릴 것입니다. |
|
|
두번째는 군사쓰나미입니다.
여러분은 대만전쟁의 화살은 어디로 향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저는 그게 한반도라고 생각을 합니다. 주한미국 사령관인 라카메라 장군은 2021년 5월 미 상원 청문회에서 "한국군의 국제적 역량을 고려할 때 한반도를 넘어서 미군과 협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대한민국 영토에 주둔중인 미군과 유사시 한국군의 선택도 한반도의 운명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
|
한반도는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의 미래는 전쟁으로 가는 것일까요? 아니면 공존으로 향하는 것일까요? 우리에게는 세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첫째, ‘전쟁’입니다. 둘째, ‘포기’ 혹은 ‘방치’입니다. 셋째, ‘관리’입니다.
여러분은 첫번째 옵션인 전쟁은 다 포기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둘째, 포기 또는 방치입니다. 만약 우리가 북한과 한반도를 포기하고 방치한다면,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다른 국가들의 계획대로 흘러가고, 어쩌면 우리는 오랜 시간 동안 평화와 공존하는 한반도를 만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질문하고 싶습니다. 만약 북한이 개방된다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빼앗길 것입니까, 우리의 기회로 만들 것입니까?
다음 시간에는 여러분에게 우리가 통일한반도를 통해서 가질 수 있는 5가지 희망과 힘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위기는 기회다. 기회지수, 김지수 드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