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한반도 이야기
구독하기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_선진 통상국가의 꿈
전 세계를 상대로 낸 그랜드 비전을 소개합니다.
2024. 2. 6.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_선진 통상국가의 꿈
전 세계를 상대로 낸 그랜드 비전을 소개합니다.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50
안녕하세요! 드디어 입춘이 왔습니다. 아직은 춥지만, 독자님의 일과 삶이 하루하루 따뜻해 지시길!
독자님들 중에서, 저에게 제가 본 책을 공유하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에 제가 본 관심있는 책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합니다.
대한민국을 동북아 중심 국가로 만드는 전략으로서 FTA
선진통상 국가의 비전 그리고 FTA 낙제생에서 FTA 모범생으로
이 책에서 김현종 본부장님은 다자협상이 WTO에서 실패를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양자적인 형태인 FTA로 적극적이고도 장기적으로 국부를 늘려서 종국엔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역사의 교훈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는 주변 패권국가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의 외교정책이다."
"임진왜란부터 20세기 초 제국주의 시대,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열강들은 우리를 제쳐 둔 채 한반도의 주인인 우리들의 운명을 흥정했다.
"100여 년 전 조선의 역사, 개방을 통한 개혁을 주장한 세력들은 사회적 기반이 미약하여 뜻을 이루려다 번번이 쇄국을 불렀고 결과적으로 망국을 초래했다.
1870년 외국 문물 도입에 적극적이던 서재필, 김옥균 등도 1884년 갑신정변을 기점으로 주류에서 밀려났다."
대원군의 개국 쇄국에서 척화비 건립과 같은 배외 정책으로 국제정세의 파도에 대처하는데 실패한반도를 전초 기지로 생각하고 있는 주변 강국의 생각을 전혀 읽지 못했다고 합니다.
또한 부시 전 대통령, "많은 사람은 잘 모르지만, 미국과 중국은 생각보다 가까운 관계다. "이런 말까지 했다고 하는데요.
미국 강대국들은 언제든지 어깨너머로 우리 운명을 흥정 가능. 미국과 중국 쪽 어떤 편을 들어야 하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설계한 국제외교전략에 어떻게 더 많은 나라가 동참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동시다발적 FTA의 필요성과 구상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세계 통상전략의 큰 그림도 그리지 않은 채 전 정부의 약속에 묶여 정책이 실행되고 이것이 훗날 국가와 국민에게 불이익이 된다면 대한민국 통상정책의 미래를 결정하는 현재의 주무자로서 심각한 직무 유기라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 없었다. "
"국민소득 3만 불 시대! 선진통상 국가. 국민들에게 생소한 FTA가 국내 실물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을 체감케 하는 일"
남북 FTA 통일로 가는 일
"역사적으로 한반도가 안정되었을 때 동북아 지역의 평화가 유지
북한을 압도하는 정치 경제 군사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중국 대만 흡수 통일을 위해서, 중국 대만 FTA 2010년, 1871년 독일통일도 프로이센의 강력한 군사력 플러스 외교, 그리고 FTA보다 강한 관세동맹이 밑거름되었음 , 독일 특히 미국과 소련의 대타협으로 통일되었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도 다음 시대를 읽고, 세계전략을 세우는 선진통상국가 2.0 혹은 기회를 여는 외교통상정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여러분 혹시 저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 있으신가요? 추천해 주세요! 읽고 감상문 공유하겠습니다!
독자님과 함께 독서를 하고 싶습니다!
독서지수
김지수 드림.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 전편보기
공유하기
김지수의 한반도 이야기
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기회의 한반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_ 지구에서 좋은 게 뭐죠?
2024. 1. 30.
다음 뉴스레터
김지수의 한반도이야기_ 타인의 삶 , 나의 변화
2024. 2. 13.
김지수의 한반도 이야기
기회의 한반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