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인생에 던져볼 만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전라북도 고창 동학농민혁명 기포지로
高敞 茂長 東學農民革命 起包地 |
|
|
우리 조상이 세상을 향해 외치고 행동한 역사적 순간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전남의 하의도를 지나 전라북도 고창 도학 농민혁명의 기포지로 발을 옮겼습니다.
전당대회 기간 중, 제가 얼핏 동학농민혁명의 발원지가 전북이라는 것을 들었는데 이제서야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위대한 도전이 이루어졌던, 이 장소로 올 수 있었습니다. |
|
|
왜 당신은 움직입니까?
그리고 여러분 잘 아시는, 동학농민운동을 이끌었던 녹두장군 정봉준을 소개합니다.
“너는 피해를 본 것이 없는데 왜 동학군들과 함께 난을 일으켰느냐?”
“나 하나 피해를 보았다고 난을 일으킨 것이 어찌 사내가 할 일이겠느냐? 백성이 억울해하고 슬퍼하니 그 피해를 없애려고 한 것이다.” |
|
|
국가의 위태로움
그는 1855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그의 집안은 벼슬을 하던 양반 가문이고 부유했지만, 집안이 점점 가난해졌다고 합니다.
전봉준이 살았던 조선은 참 혼란스러웠다고 합니다.
안으로는 민씨 가문의 폭정과 탐관오리들의 부정부패가 난무하였고, 백성은 세금을 못 내 도망 다니는 분도 많았다고 합니다.
또 밖으로는 외세의 침입이 빈번했고요. 청나라와 일본은 여러분 아시겠지만, 지금의 한반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
|
|
혁명이다
근데 이런 상황에서도 고부군수는 농업에 물을 쓰니 물에 대한 세금을 더 내라고 하고, 백성에 대한 횡포가 계속되어 결국 이에 반하는 농민세력과 동학의 사상을 이어받은 전봉준 등 지도자들이 함께 농민무장혁명을 일으켰습니다. |
|
|
혁명모의탑 근처에는 별이 반짝
그래서 동학농민혁명은 반봉건, 반외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참하나만 해결하기도 어려운데, 외세의 침략까지, 어쩌면 지금의 한반도 대한민국이 항상 구조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장기적 과제이기도 합니다. |
|
|
역사의 맥락과 연결되다
여러분들게 공유하고 싶은 영감을 소개합니다. 저 멀리서만 바라보던 동학농민혁명지를 직접 와보니까, 느낌이 확 다르더라고요.
심지어는 공기도 다릅니다. 무언가 역사의 맥락 안에 연결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횃불이 있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우리 조상은 촛불보다 훨씬 더 큰 횃불을 들고 운동한 모습을 잠시 상상해 봤습니다. |
|
|
세상에 선언하다
특히 동학농민운동을 주도했던 3분의 장군 이름으로 쓰인 동학농민운동 선언문을 보면서, 그들의 사상과 치열함, 불의, 불공정에 대한 강한 분노와 세상을 바꾸고 싶다는 열망이 저의 가슴에깊게 파고들었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고 정리하는 와중에서도 저의 마음 깊은 곳에 파도가 쳤습니다. |
|
|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은 바로 인간 그리고 지구
저의 의견이 들어가 있는 주관적인 정리지만요 독자여러분께 나누고 싶습니다.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이 세 분의 이름을 기억해 주세요.
"이 세상에서 사람이 가장 귀한 것은 인륜이 있기 때문이다." |
|
|
동학혁명모의탑
"그러나 지금 신하라는 자들은 나라에 충성을 다할 생각하지 않고 다만 녹봉과 지위를 도둑질하며, 전하의 총명을 가리고 아부하고 뜻만 맞추면서 충성을 간하는 말을 요사스러운 말이라 하고, 정직한 자를 비도(匪徒)라고 한다.
안으로는 나랏일을 도울[輔國] 인재가 없고, 밖으로는 백성을 학대하는 관리가 많아, 백성의 마음은 날이 갈수록 더욱 변하였다. 집 안에 들어가서는 즐겁게 살아갈 생업이 없고, 밖에 나와서는 몸을 보호할 방법이 없다." |
|
|
백성은 나라의 근본
"전국은 모두 어육(魚肉)이 되고 모든 백성은 도탄에 빠졌는데도 수령들의 탐학이 참으로 그대로이니, 어찌 백성이 곤궁해지지 않겠는가. "
"백성은 나라의 근본인바, 근본이 쇠약해지면 나라도 쇠약해진다. 나랏일을 도와 백성을 편안하게 할(輔國安民) 방책은 생각하지 않고 시골에 집을 지어 오직 혼자만 온전할 방법만을 찾고 오로지 녹봉과 지위를 도둑질하니, 이것을 어찌 도리라 하겠는가." |
|
|
보국안민의 정신
"우리는 초야에서 사는 백성이지만, 임금의 땅에서 먹고 임금이 준 옷을 입고 있으므로 나라의 위태로움을 좌시할 수 없다. 이에 전국은 한마음으로 수많은 백성과 의논하여 오늘이 의로운 깃발을 들어 나라를 바로잡고 백성을 편안하게 만들 것을 죽음으로써 맹세를 하였다. "
「무장동학배포고문」 |
|
|
미국의 투쟁 그리고 독립
참 신기한 게요, 제가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라볼 때, 동시에 미국과 중국에 역사도 바라보게 되는데요.
단순 비교는 안 되지만, 미국도 사실 이민자들이 자유를 찾아 아메리카로 왔는데, 영국의 식민지로서 억압과 특히 위에 고부군수가 한 것처럼 영국의 세금징수가 도화선이 돼서 영국에 독립전쟁을 선포했습니다. 그리고 승리했죠. |
|
|
중국의 투쟁 그리고 국가수립
중국도 위에 동학농민혁명의 사례처럼, 반봉건 반 외세적인 운동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항일전쟁에서 혈투한 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공산당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하고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통일을 이루어냈습니다. |
|
|
인류공동의 가치-자유와 평등 그리고 공정
코리아, 아메리카, 차이나 이들이 원했던 세상은 개인의 '자유'가 억압당하지 않는 세상, '평등'하고 '공정'한 세상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에, 동시에 우리 인생에 던져볼 만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
|
|
우리는 자유로운가?
어떻게 이 세상이 더 공정하게 될 수 있을까? |
|
|
자유와 평등 그리고 공정을 위해 싸웠던 전봉준 장군과 농민을 생각하며 독자 여러분께 시의 구절을 공유합니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
|
|
역사를 향한 희생과 용기- 동학농민혁명
비록 동학농민혁명은 단기적으로 실패로 끝났지만, 장기적으로 평등사상과 차별 없는 세상에 대한 열망을 후손에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농민이 독자적으로 부패한 관료에게 저항하고,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는 참으로 대단한 용기와 희생정신의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
|
|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은 끝나지 않았다
부패한 탐관오리와, 어려운 경제상황에서의 과도한 세금징수, 그리고 자주적으로 나라를 지키지 못한 정부가 외세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면서 당시 농민 지금의 시민분들이 일어나 새로운 세상을 꿈꾸고 행동했다는 것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
|
|
이 동학농민혁명의 발원지 앞에서 신발 끈을 묶어 봅니다. |
|
|
이제 곧 첫눈이 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해 첫눈이 내리는 날
우리나라를 지키고 싶었던,
지켜왔던, 희생했던 조상의 순수한 마음과 희생을
기려 보렵니다.
울릉도와 하의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넘어서,
다음으로 독자와 제가 향할 곳은 어디일까요?
다음주에 뵙겠습니다!
첫눈을 기다리는,
첫눈지수 드림
P.S. 종각역에서 녹두장군을 볼 수 있습니다.
|
|
|
|